본문 바로가기
마늘캐는곰, 영종도 이야기

영종도 해안순환도로, 54km 대순환의 완성과 미래 가치

by 마늘캐는곰 2025. 5. 9.

 

영종도 해안순환도로영종도 해안순환도로영종도 해안순환도로

영종도는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대한민국의 관문이자, 최근 수도권 서부권의 핵심 성장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영종도 해안순환도로’가 있습니다. 이 도로는 영종도 해안을 따라 총 54km를 순환하며, 지역 교통체계 혁신과 관광·레저 활성화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영종도 해안순환도로 사업 개요

영종해안순환도로는 공항신도시분기점에서 운서나들목, 미단시티를 연결하는 총 연장 53.7km(54km) 구간의 해안 일주 도로입니다. 이미 50.7km는 완공되었고, 마지막 미개통 구간인 중산동~운북동 2.99km(폭 15m, 왕복 2차로)만 남아 있습니다. 이 구간은 총사업비 660억 원이 투입되어 2026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개통 현황과 공사 진행 상황

  • 완공 구간: 50.7km(2021년 기준 이미 개통)
  • 마지막 미개통 구간: 중산동~운북동 2.99km(폭 15m, 왕복 2차로)
  • 공정률: 2025년 4월 기준 약 65%
  • 완공 목표: 2026년 상반기(당초 2025년 말 목표에서 연기됨)
  • 공사 지연 사유: 공유수면 점용·사용 협의 등 인허가 절차 지연
  • 임시 개통: 공사가 끝난 구간부터 임시 개통 방안도 검토 중

영종도 해안순환도로영종도 해안순환도로영종도 해안순환도로

해안순환도로가 영종도에 미치는 영향

1. 대순환 교통체계 완성

영종도 해안순환도로가 완전히 연결되면, 기존 도로를 우회할 때 15분 걸리던 시간이 3분 이내로 단축됩니다. 영종대교, 인천대교, 제3연륙교 등과 연계해 영종도는 물론 청라, 서울, 경기 서부권과의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됩니다.

2. 관광·레저 인프라 확장

이 도로를 따라 인천국제공항, 한상드림아일랜드, 미단시티, 해안공원 등 다양한 관광명소와 복합레저시설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해안도로 한쪽에는 폭 3m의 자전거도로와 2m의 보도도 설치되어, 걷기와 라이딩, 드라이브까지 모두 즐길 수 있는 명품 해안길로 거듭납니다.

3. 투자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

54km 해안순환도로가 완성되면 영종도 전체가 하나의 생활·관광권으로 묶이면서 투자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인천시는 제3연륙교, 영종~신도 평화도로 등과 연계해 무의도, 신도 등 인근 섬 지역까지 파급효과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영종도 해안순환도로영종도 해안순환도로영종도 해안순환도로

사업 추진의 어려움과 향후 과제

  • 도로 폭 축소: 당초 폭 35m에서 15m로 축소, 경제성 평가(B/C) 기준 미달로 국비 전액 지원 대상에서 제외
  • 사업비 조정: 총사업비 660억 원(국비 50%, 시비 50%)으로 확정
  • 자전거도로 노선 변경: 일부 구간은 공항공사 제방 축조 계획 등으로 노선 변경 검토 중
  • 행정절차 지연: 공유수면 점용·사용 등 인허가 절차가 예상보다 길어져 공사 일정이 연기됨

영종도 해안순환도로영종도 해안순환도로영종도 해안순환도로

영종도 해안순환도로의 미래 가치

영종도 해안순환도로는 단순한 도로를 넘어, 영종도와 인천 서부권 전체의 미래를 바꾸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교통, 관광, 레저, 투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완공 시 영종도는 명실상부한 수도권 서부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해안순환도로를 중심으로 한 영종도의 변화와 발전에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