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3연륙교3

영종도 해안순환도로, 54km 대순환의 완성과 미래 가치 영종도는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대한민국의 관문이자, 최근 수도권 서부권의 핵심 성장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영종도 해안순환도로’가 있습니다. 이 도로는 영종도 해안을 따라 총 54km를 순환하며, 지역 교통체계 혁신과 관광·레저 활성화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영종도 해안순환도로 사업 개요영종해안순환도로는 공항신도시분기점에서 운서나들목, 미단시티를 연결하는 총 연장 53.7km(54km) 구간의 해안 일주 도로입니다. 이미 50.7km는 완공되었고, 마지막 미개통 구간인 중산동~운북동 2.99km(폭 15m, 왕복 2차로)만 남아 있습니다. 이 구간은 총사업비 660억 원이 투입되어 2026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개통 현황과 공사 진행 상황완공.. 2025. 5. 9.
인천 제3연륙교, ‘이름 없는 다리’로 개통하나? 중구 vs 서구, 명칭 갈등의 현장인천 영종국제도시와 청라국제도시를 잇는 ‘제3연륙교’가 올해 12월 개통을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리의 공식 명칭을 두고 인천 중구와 서구가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개통 시점까지도 이름을 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대형 교량이 ‘이름 없는 다리’로 개통하는 첫 사례가 될지 지역사회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제3연륙교, 어떤 다리인가?제3연륙교는 영종국제도시(중구 중산동)와 청라국제도시(서구 청라동)를 연결하는 길이 4.68km, 폭 30m, 왕복 6차로의 대형 해상교량입니다. 총사업비 7,709억 원이 투입된 이 교량은 보도와 자전거도로, 세계 최고 높이(180m) 주탑 전망대, 수변 데크 등 다양한 체험·관광 인프라가 함께 조성되는 것이 특.. 2025. 5. 9.
영종국제도시 인프라 개선 총정리 제2공항철도와 지역 발전의 미래 영종국제도시 인프라 개선 계획: 제2공항철도와 지역 발전의 청사진영종국제도시는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의 핵심 지역으로, 교통, 복지, 교육 등 다양한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제2공항철도 건설 계획은 지역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도시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2공항철도를 포함한 영종국제도시의 주요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를 종합적으로 살펴봅니다.1. 제2공항철도 건설 계획사업 개요노선: 경인전철 인천역에서 영종하늘도시를 거쳐 인천국제공항까지 연결하는 14.1km 구간.총사업비: 약 1조6800억 원.개통 목표: 2030년.기대 효과KTX 연결성 강화:제2공항철도가 완공되면 인천발 KTX가 송도역에서 출발해 서울역을 거치지 않고 인천공항까.. 2025.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