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늘캐는곰, 낚시

서해 물때표 보는법 만조 간조 사리 조금 활용팁까지

by 마늘캐는곰 2025. 4. 25.

서해 물때표서해 물때표서해 물때표

서해 물때표 보는 방법: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완벽 가이드

서해안에서 낚시, 해루질, 갯벌 체험 등 바다 활동을 계획할 때 물때표는 필수 정보입니다. 서해는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하루에도 밀물과 썰물이 두 번씩 반복되기 때문에 물때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안전과 조과 모두에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해 물때표 보는 법, 주요 용어, 활용 팁을 한눈에 정리합니다.

1. 서해 물때표란?

  • 물때표란 하루 중 **밀물(만조)**과 **썰물(간조)**이 언제인지, 해수면 높이가 얼마나 변하는지, 유속이 얼마나 빠른지 등을 표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 낚시, 해루질, 갯벌 체험 등 해양활동의 황금시간을 잡기 위해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2. 서해 물때표 어디서 확인하나?

  • 국립해양조사원(www.khoa.go.kr): 공식 조석예보, 지역별 상세 물때표 제공.
  • 바다타임(www.badatime.com): 지역별, 날짜별 물때, 만조·간조 시간, 수위, 유속 등 상세 정보 제공.
  • 모바일 앱: ‘물때와 날씨’, ‘바다타임’ 등 어플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

서해 물때표서해 물때표서해 물때표

3. 물때표 보는 기본법

1) 주요 용어 정리

용어설명
만조 물이 가장 많이 차오른 시점(밀물의 최고점)
간조 물이 가장 많이 빠진 시점(썰물의 최저점)
밀물 물이 들어오는 현상(들물, 창조)
썰물 물이 빠지는 현상(날물, 낙조)
사리 만조-간조 수위차가 가장 큰 시기(보름·그믐, 음력 15·30일)
조금 만조-간조 수위차가 가장 작은 시기(음력 8·23일)
영종도 물때표
영종도 물때표
 

2) 표 해석 방법

  • ▲(만조), ▼(간조): 해당 기호 옆 시간은 만조/간조 시각, 가로안의 숫자는 물의 높이(cm), +숫자/-숫자는 해수면의 높이 차이 
    • 예) ▲+229 = 간조에서 만조 시 수위 229cm 상승
    • 예) ▼-239 = 만조에서 간조 시 수위 239cm 하락
  • 하루 2번 만조, 2번 간조: 서해는 하루에 두 번씩 반복(6시간 간격.
  • 날짜별 물때(1물~15물): 유속의 세기를 나타냄. 1물~6물(유속 빠름), 7~14물(점점 느려짐), 15물=조금(유속 가장 약함).
  • 사리/조금: 사리 때는 물이 멀리 빠지고 유속이 빨라 해루질·갯벌 체험에 유리, 낚시는 조금 때가 입질이 활발.

서해 물때표서해 물때표서해 물때표

4. 서해 물때표 활용 꿀팁

  • 해루질: 간조(▼) 시간 전후 2시간이 황금시간, 수위 150cm 이하일 때 진입 추천.
  • 낚시: 만조(▲) 전후 2~3시간, 또는 밀물 들어올 때가 입질 활발.
  • 갯벌 체험: 썰물(간조) 시간에 맞춰 안전하게 체험, 들물 시작 전 반드시 철수.
  • 지역별 물때 차이: 같은 서해라도 지역별로 만조·간조 시간이 다르니, 반드시 현지 기준 물때표 확인.

5. 서해 물때표 보는 실전 예시

예시) 6월 3일 영종도 기준 물때표

  • 01:01 ▲+229 (만조)
  • 07:52 ▼-239 (간조)
  • 13:18 ▲+210 (만조)
  • 20:13 ▼-230 (간조)

→ 해루질: 07:52, 20:13 간조 시간 전후 2시간
→ 낚시: 01:01, 13:18 만조 전후 2~3시간

6. 물때표 쉽게 확인하는 방법

  • 바다타임,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 접속 → 지역·날짜 선택 → 만조/간조 시간·수위 확인.
  • 모바일 앱 설치: ‘물때와 날씨’, ‘바다타임’ 등에서 실시간 확인.
  • 포털 검색: ‘서해 물때표’, ‘지역명+물때표’로도 바로 확인 가능.

서해 물때표서해 물때표서해 물때표

결론

서해 물때표는 바다활동의 ‘타임테이블’입니다. 만조·간조 시간과 수위, 사리·조금 등 기본만 알아도 낚시, 해루질, 갯벌 체험이 훨씬 안전하고 풍성해집니다.
바다타임, 국립해양조사원 등에서 지역별·날짜별로 꼭 확인하고, 활동 목적에 맞는 황금물때를 잡으세요!